노인을 대상으로 하는 사기가 나날이 증가하고 있습니다.
지난해 2021년 약 92,000명의 어르신들이 피해를 입었습니다.
나이드신 우리 어머님, 아버님을 대상으로 하는 금융사기 Top 5를 소개합니다.
1. <안녕하세요, 복지과 입니다>
정부를 사칭하는 #보이스피싱
보이스피싱범들은 노인에게 전화를 걸어 국세청 또는 사회복지관련 공무원이고 소개합니다.
그리고 현재 미납된 세금이 있어 개인정보를 조회해야 한다고 말합니다.
개인정보를 제공하지 않을 시 현재 받고 있는 의료수급 또는 사회복지 지원금이 중단될 수 있다고
이야기 합니다. 그리고 노인들이 정보를 제공하면 이를 신원 도용을 합니다.
2. <축하드려요. 경품에 당첨되셨습니다>
경품 및 복권사기 #보이스피싱
요즘은 경품사기는 너무 흔해져 속는 사람이 줄어들었습니다. 다만, 어르신들은 속을 수 있습니다.
어르신 거주지 주변의 마트 또는 업장으로 속여 전화를 합니다. 그리고 일종의 상품에 당첨되었다고 말합니다.
당첨금을 수령하려면 세금 및 수수료를 미리 결제해야 한다고 이야기 합니다.
이런 경우 보이스피싱범은 잘 알려진 상점 또는 경품행사를 사칭하며 어르신들과 신뢰를 쌓을 수 있습니다.
심각한 경우는 보이스피싱범은 상품이 곧 도착할 것이라며 어르신들을 안심시킨 뒤
다른 핑계를 대어 더 많은 돈을 요구할 수 있습니다.
3. <어르신 들리세요? 들리세요?>
자동녹음전화 및 전화피싱 #보이스피싱
보이스피싱 중 하나는 "들리세요? 어르신 들리세요?"라고 반복적으로 물어,
어르신이 "예"라고 대답하면 이 음성을 녹음하고 전화를 끊습니다.
그런 다음, 다른 보이스피싱범이 신용카드 발급 등과 같은 곳에서 녹음한 음성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.
4. <할머니, 저 OOO인데요. 카드값 좀...>
또 다른 하나는 노인이 가장 신뢰할 수 있는 가족을 이용한 가장 단순하면서도 교활한 수법입니다.
보이스피싱범은 조부모에게 전화를 걸어 이야기 합니다.
"할머님, 저 OOO인데요." 가장 흔한 손자의 이름을 추측하며 기억력이 흐릿한 어르신에게서
손자의 이름을 유추합니다. 그리고 연체료, 자동차 수리비 등 돈을 요구합니다.
그리고! 그들은 엄마, 아빠에게 말하지 말아달라고 노인들에게 부탁합니다.
간곡히 부탁하는 손자의 요청을 거절할 수 없도록 말이죠.
'인생공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모욕죄 고소하는 법 3. 모욕죄 증거불충분 (0) | 2022.11.29 |
---|---|
모욕죄 고소하는 법 2. 모욕죄증거 증인보다 증거가 중요한 이유 (0) | 2022.11.28 |
모욕죄 고소하는 법 1. 모욕죄 증거 (0) | 2022.11.28 |
의사의 오진, 아니 안일함으로 시기를 놓칠 뻔 했다<나는 갑자기 암 환자가 되었다2> (0) | 2022.11.22 |
갑자기 피곤해진 당신, 갑상선 암일 수 있습니다 <나는 갑자기 암 환자가 되었다> (0) | 2022.11.21 |
댓글